[부산일보] 제주해녀가 부산 영도로 향한 이유

[부산일보] 제주해녀가 부산 영도로 향한 이유

부산에 해녀가 늘어나던 시기에 가장 매력적인 해산물은 정작 먹는 게 아니었다. 당시 식용보다 산업 원료로 쓰인 ‘우뭇가사리’ 같은 해조류가 대표적이다. 일제강점기를 포함한 20세기까지 감태 등과 함께 귀한 대접을 받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부산은 바닷길로 수출까지 용이한 지리적 이점이 있었다. 부산은 제주 해녀들을 부를 독특한 매력이 있었던 셈이다. 부산은 값비싼 해산물만 많은 곳이 아니었다. 국내 곳곳을 넘어 일본까지 수출이 가능한 바닷길을 갖춘 곳이었다. 제주도처럼 다른...
[부산일보] 영도로 진출한 제주해녀와 부산 토박이 해녀

[부산일보] 영도로 진출한 제주해녀와 부산 토박이 해녀

제주도 해녀들은 일제 강점기 일본 업자에게 고용돼 영도구 등 부산·경남 일대로 향했고, 해방 이후에는 결혼이나 남편 취업 혹은 가족 이주 등을 이유로 부산에 정착했다. 제주도에서 출항한 해녀에게 영도구를 포함한 부산은 특별하다. 1995년부터 영도구를 지킨 제주은행 부산지점이 대표적이다. 물론 모든 부산 해녀가 제주도에 뿌리가 있다고 보긴 어려운 측면도 있다. 이에 대해 유형숙 동의대 한·일해녀연구소장은 “해안가 마을에 살다 보면 자연스럽게 해산물 채취를 시도할 가능성이...
[부산일보] 동의대 한일해녀연구소, 남천 해녀와 동행물질 체험

[부산일보] 동의대 한일해녀연구소, 남천 해녀와 동행물질 체험

동의대 한일해녀연구소(소장 유형숙, 호텔컨벤션경영학전공 교수)는 지난 19일 부산 남천항에서 지역 주민과 남천동 해녀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남천 해녀와 동행물질’ 체험 행사를 개최했다. 동의대 한일해녀연구소는 지난 7월부터 오는 12월까지 부산 남천동 다섯 해녀의 이야기를 기록하는 ‘도시해녀 구술록’ 발간 소액기부 펀딩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날 행사는 이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한편 동의대 한일해녀연구소는 한국과 일본에만 있는 소중하고 희귀한 무형문화유산인...